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6

쏘카와 렌터카의 차이점 및 경쟁우위 자본주의에는 경쟁이 필연적으로 따라붙는데, 경쟁사들로부터 내 파이를 지키려면 경쟁우위가 필수적이다. 경쟁사보다 경쟁우위가 없다면 자연스럽게 출혈경쟁으로 이어진다. 경쟁우위는 어디에서 올까? 바로 경쟁사와 차이점에서 온다. 소비자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내가 왜 이 회사의 제품을 써야하지?"와 같은 것이다. 경쟁사의 제품과 차이점이 있어야 소비자들이 그 제품을 이용할 이유가 있고 가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차이가 내 파이를 지켜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쏘카와 렌터카에는 어떤 차이가 있고 이 차이가 경쟁우위가 될 수 있을까? 단거리는 쏘카, 장거리는 렌터카 첫 번째 차이점은 유류비 정산방법이다. 쏘카나 렌터카 모두 "차량 대여요금 + 유류비"를 받는다. 쏘카는 차량에 비치된 카드로 주유를 할 수 있고 이용.. 2022. 10. 3.
메가스터디교육 - 재무제표 분석(재무상태표, 손인계산서, 현금흐름표) 재무제표를 분석할 때는 사업의 내용과 연계해서 분석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워런 버핏은 사업내용을 모르면 재무제표에서 얻어갈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하였다. 아직까지도 많이 부족하다고 느끼지만 그럼에도 계속 해보는 수밖에. 사업의 본질에 대해 모르면 재무제표에서 정보를 거의 얻을 수 없다. by 워렌버핏 & 찰리멍거 (08 버크셔) 재무상태표 메가스터디교육의 자산은 비유동자산의 비중이 64%로 유동자산보다도 비중이 월등히 높다. 이유는 유형자산, 무형자산, 사용권자산이 많기 때문이다. 메가스터디는 인강 서비스를 하는데 유혀자산이 왜 많이 필요할까? 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메가스터디교육의 유형자산이 많은 이유는 기숙학원도 영위하고 있기 때문이다. 메가스터디교육 유형자산의 72%는 기숙학원들의 토.. 2022. 10. 1.
듀오링고 - 기업개요(언어학습 어플, 영어시험) 기업개요 듀오링고는 창립자인 루이스 폰 안(이하 루이스)과 세베린 해커가 2011년에 설립하였다. 듀오링고의 10-K 보고서를 보면 듀오링고의 철학이 잘 나와 있다. 세계 최고의 교육을 보편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경제적인 능력과 상관없이 모든 사람이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여기에는 루이스의 경험이 반영되어 있다. 루이스는 과테말라에서 자랐는데 양질의 교육이 사람들이 삶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보았고 반대로 개발도상국에서 기본적인 교육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의 모습도 동시에 보았다고 하는데 이 때의 경험이 듀오링고를 만든 철학이 된 것 같다. 2022년 9월 29일 기준 시가총액은 38.97억 달러(한화 약 5조 5,870억)이다. 2021년에 상장하였으며 매출은 약 2억 5천.. 2022. 9. 30.
[메가스터디교육] 경쟁우위 사람이 중요한 비즈니스 모델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미래를 예측하기가 다른 비즈니스들 보다 어렵다. 열길 물 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속은 모르듯이 학원과 강사사이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알 수 없고 어디서, 누가 스타강사가 될 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메가스터디가 현재의 자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만한 경쟁우위가 있어야 한다. 자본주의에서 경쟁우위가 없으면 필연적으로 도태되기 때문. 현재 메가스터디교육에 어떤 경쟁우위가 있는지 알아보자. 가장 많은 스타강사 라인 인강에서 스타강사는 전부라고 해도 될 정도로 중요한 경쟁요소이다. 먼저, 각 학원의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총 강사수를 세어 보았는데 다소 오차가 있을 수 있으나 결과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메가스터디 - 총 86명 대성마이맥 - 총 50명 이.. 2022. 9. 27.
부모들은 언제 자녀의 사교육을 시작할까? 평균 5세 전 학습지 또는 학원 교육 시작 취학 전 받은 사교육 과목 국어, 한글 62% 영어 52.4% 미술 50.8% 수학 41% 미취학 자녀 사교육 평균 과목수 3.2개. 시간은 하루 평균 1시간 16분 월별 지출금액 25만 8천원. 영어가 가장 많이 들어감 부담되지만 사교육을 시키는 이유 자녀가 뒤쳐질까봐 학습습관 길러주기 위해 장기적인 학습효과 기대 등 출처 : https://www.yna.co.kr/view/AKR20161121156700030 취학전 사교육, 평균 4.7세에 시작…월 26만원 들어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 한국 어린이들은 초등학교 입학 전 사교육을 받는 경우 평균 5세가 되기 전부터 학원이나 학습지를 접하는 것으로... www.yna.co.kr 2022. 9. 26.
[메가스터디교육] 고등인강 주요 경쟁요인 핵심 사업부문 메가스터디교육은 다양한 교육 분야에 진출해 있지만 매출비중으로 보면, 핵심 사업부문은 (1)고등인강-60%, (2)초중등 인강-23% 정도로 볼 수 있다. 학생들은 어떤 기준으로 학원을 선택할까메가스터디교육의 매출비중이 가장 높은 것은 고등인강 부문이다. 그렇다면 고등학생들은 학원을 선택할 때, 어떤 기준으로 선택할까. 바로 강사를 기준으로 선택한다. 고등입시교육을 받으면서 학원을 한번이라도 다녀본 사람이라면 알 것이다. 인강을 고르기 위해 친구들에게 물어볼 때, 강사말고 물어보는 것이 있을까? 고등인강은 강사가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기에 스타강사라는 말이 생겨나는 것이고 학원들은 스타강사를 영입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강사와 학원간의 소송도 빈번하게 있.. 2022. 9.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