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듀오링고 재무제표 분석 -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by 장래희망 지분 5%공시 2022. 10. 14.

듀오링고의 재무상태표에서 자산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손인계산서에서 비용은 어떤 비용이 많은지, 현금흐름표에서는 영업활동현금흐름은 어떻고 투자는 는 어디에 하고 있으며 자금 조달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재무상태표

듀오링고-재무상태표 상세

  2021년 2022년
총자산 661,311 175,739
현금성자산 553,992 120,490
미수금(Accounts receivable) 33,163 20,450
선급금(Deferred cost of revenue) 24,219 13,585
사용권자산(Operating lease right-of-use assets) 28,369 8,073

사진에서 주요 계정을 뽑아보았습니다. 현금이 가장 많고 나머지는 금액이 비슷합니다.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은 듀오링고는 건물을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어 유형자산도 크지 않습니다. 그리고 현금이 크게 늘었는데 이는 뒤에 나오는 현금흐름표에서 다시 알아보겠습니다. 결론은 듀오링고는 사업특성상 유형자산이 많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2021년 2020년
총부채(total liabilities) 148,225 73,821
선수금(Deferred revenues) 98,267 54,792
기타 및 유동부채(Accrued expenses and other current liabilties) 12,993 8,634
장기임대 29,124 8,131

먼저 부채가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2.4%로 재무상태는 건전한 편입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특징은 선수금입니다. 듀오링고처럼 구독서비스를 하는 기업들은 모두 선수금이 잡히고 이는 중요한 계정입니다. 선수금이 증가한다는 것은 고객이 늘고 있다는 의미이니까요. 그 외에는 중요한 숫자가 없습니다.

손익계산서

듀오링고-손익계산서-상세

손익계산서는 비용구조를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듀오링고의 영업비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연구개발비, 광고비, 일반행정비입니다. 일반행정비는 우리나라로 치면 판관비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연구개발비의 비중이 큽니다. 연구개발비는 103,833천 달러인데 한화로 약 1,480억 입니다. 우리나라 기준에서 보면 엄청난 금액이죠. 20년도 대비 2배 가까이 늘어난 금액이고 듀오링고의 사업보고서에도 연구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당분간 연구개발비는 증가할 것으로 추측합니다.

현금흐름표

듀오링고-현금흐름표-영업활동

영업활동현금흐름에서 주목할 부분은 주식보상비용(stock-based compensation)과 선수수익(Deferred revenue)입니다. 선수금과 선수수익은 개념은 비슷하지만 선수금은 영업과 관련하여 받을 돈이고 선수수익은 영업 외 항목에서 받을 돈이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영업활동현금흐름은 60,135천 달러로 적자이지만 영업활동으로 제공되는 순현금흐름이 9,170천 달러인 이유가 바로 주식보상비용과 선수수익 때문입니다. 다만, 선수수익은 받을 돈이라 괜찮지만 주식보상비용은 당장 나갈 비용을 연기한 것입니다. 즉, 주식보상비용 때문에 현금흐름이 좋아보이기는 하나 언젠가는 비용이 될 문제입니다. 제 생각으로는 돈이 들어갈 곳은 많은데 영업은 적자중이다 보니 임직원에게 주식보상을 주는 것 같습니다.

투자활동현금흐름은 확인할 만한 사항이 없어 넘어가겠습니다.

듀오링고-현금흐름표-재무활동

재무활동현금흐름을 보면 현금이 급증한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바로 듀오링고가 21년에 상장을 하면서 공모를 했기 때문입니다. 상장하면서 들어온 자금이 426,191천 달러로 한화로 약 6,082억원 입니다. 당분간은 이 돈으로 연구개발에 투자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리해보자면 상장으로 들어온 돈을 연구개발과 장비, 비품 등에 돈을 쓰고 있고 구독모델에서 중요한 선수금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현재 현금의 규모로 봤을 때, 향후 2년 동안은 자금을 걱정하지 않아도 될 듯 한데 2년이 긴 시간은 아닙니다. 현재 듀오링고의 제품이나 사업모델을 보면 연구개발비가 무한정 증가할 것 같지는 않고 분명 언젠간 멈출 것인데, 그때가 되면 이익이 증가하지 않을까 생각해보지만 아직은 영업이익도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기에 빠른 시일내에 영업이익이라도 흑자전환을 해야 좀 더 장미빛 미래를 볼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댓글